뇌졸중 위험신호, 뇌졸중 전조증상, 뇌졸중 징후
질병에 관하여/뇌졸중(stroke=CVA)안녕하세요~ physiotherapy입니다.
비약적인 현대의 의학, 약학 기술의 진보와 식량문제 종결, 인간의 건강하게 살고 싶은 욕구의 증가 등으로 기대수명은 증가 추세이고 이와 더불어 노령사회, 초고령사회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인간을 사망에 이르게 하는 3대 질병은 악성신생물(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이라고 이전 포스팅에서 설명했습니다.
많은 선진국들은 이러한 위험성을 국민에게 알리고 정확한 최신의 정보를 국민들에게 교육하고 의료시스템 구축을 견고히 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의료선진국 하면 떠오르는 많은 선진국들이 있지만 의학의 진보만 보면 선두에 있는 나라는 미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지식인 집단이 미국에 존재하는대요, 바로 미국심장협회입니다.
미국심장협회는 1924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창립이 되었습니다. 뇌졸중분야에서는전세계적으로 공신력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고 "STROKE"라 하는 SCI급 논문지를 미국심장협회와 미국뇌졸중협회에서 주관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포스팅 주제는 뇌졸중 위험신호 및 증상입니다. 미국심장협회에서 제공하는 기준이되는 위험신호를 설명하는 시간이 되겠습니다.
쉽게 기억하라고 F.A.S.T 로 증상의 앞글자를 따서 만들었습니다. 정확하게 확인해 볼까요?
▶Face drooping = 안면마비
▶Arm weakness = 팔근육 약화
▶Speech difficulty = 말하기 어려움
▶Time to call 911 = 119에 신고를 하세요
부연 설명을 자세하게 해주고 있습니다. 이 내용도 한 번 확인해볼까요?
▶Face drooping = 안면마비 (코를 기준으로 좌, 우 어느 한쪽의 얼굴이 마비되거나 둔한가요? 다른 사람에게 웃어보세요. 웃을 때 입꼬리, 눈꼬리가 고르지 않거나 한쪽이 더 높고 큰모양으로 웃지는 않나요?)
▶Arm weakness = 팔근육 약화 (한쪽 팔이 힘이 빠지거나 둔하나요? 두 팔을 들어보세요 , 한쪽 어깨가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나요?)
▶Speech difficulty = 말하기 어려움 ( 발음이 분명하지 않으신가요? 상대방이 내 말을 잘 이해 못하거나 상대방에게 말하기 어렵나요? 같은 문장을 반복해서 말해보세요)
▶Time to call 911 = 119에 신고를 하세요 ( 위의 3가지 징후, 증상을 보이거나 증상이 막 사라졌더라도 즉시 병원에 연락을 하세요)
FAST에 해당하는 뇌졸중 증상, 징후는 아니지만 의미깊게 보셔야 할 추가적인 증상, 징후입니다.
▶ 갑작스러운 마비 ( 얼굴, 팔, 다리 특히 몸의 한 쪽 부분의 근약화와 마비증상 )
▶ 갑작스러운 혼란 ( 말하기 어렵거나 말하는 것을 잘 못알아 들을 때 )
▶ 갑작스러운 시각문제 ( 한 쪽 또는 양쪽 눈이 보는데 이상이 생김 )
▶ 갑작스러운 걷기문제 ( 걷는 동안 균형을 잃거나 어지러움, 협응능력의 저하 )
▶ 갑작스런 극심한 두통 ( 아무런 이유 없는 극심한 두통)
이러한 전조증상이 일어난 경우 지속시간이 대게 24시간을 넘지 않습니다. 전문적인 용어로 일과성 허혈발작/ 일과성 허혈 사고 (TIA; transient ischemic attack)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가장 무서운 점은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분들은 이러한 전조증상을 대부분 경험하신다는 겁니다. 뇌에서 보내는 마지막 신호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러한 증상이 있으신 분들은 정말 빠른 시일 내에 큰 병원에 가서 뇌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뇌에서 보내는 이 마지막 신호를 무시하면 정말로 뇌졸중이 도래할 수 있고 손상이 막대해진다면 정말 증상이 심각한 채로 여생을 보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큰 질병에 걸린다는 것은 정말 너무나 큰 개인의 시련이기도 하지만 나를 둘러싼 많은 이들의 불행이 되기도 합니다.
세상은 모두 연결된 거 같습니다. 내가 기쁠 때 같이 기뻐해 주는 사람이 있듯이 내가 슬플 때 슬퍼지는 이들도 분명 많습니다. 각자가 건강관리 잘하셔서 뇌졸중을 예방하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이번 포스팅에서 처럼 뇌졸중의 전조증상이 온다면 지체 없이 병원을 가길 다시 한번 강조하며 오늘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질병에 관하여 > 뇌졸중(stroke=C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졸중 정의, 원인? 뇌졸중이란? 뇌졸중 이유? (0) | 2020.08.2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