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몸, 치료해드림

골프 엘보우의 진단부터 치료까지! 내측상과염 치료 및 운동!

마사지에 관하여/팔꿈치 (elbow)

 

안녕하세요~ physiotherapy입니다.

 

 

 

 

 

 

 

 

골프 엘보우(golfer's elbow)는 내측상과염, 내측 위관절융기염 등으로 불립니다. 

 

 

 

팔꿈치 안쪽의 극심한 통증이 주된 증상인 골프 엘보우에 대하여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 포스팅 진행 순서

 

 

☞ 골프 엘보우의 원인과 증상

 

 

☞ 골프 엘보우 자가진단법

 

 

☞ 골프 엘보우 자가운동법

 

 

 


 

 

☞ 골프 엘보우의 원인과 증상

 

 

 

원인을 분류하자면 크게 두 가지로 할 수 있습니다.

 

 

 

① 반복적이고 과도한 손가락 손목 굽힘

 

 

일반인들이 주로 테니스 엘보우를 호소하는 이유입니다. 

 

 

신체의 어느 부분에 힘을 줄 때 대부분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수축합니다. 길이가 짧아지면서 수축하는 것을 단축성 수축 (concentric contraction)이라고 부릅니다.

 

 

단축성 수축을 하면 근육의 길이는 짧아지고 근육의 양 끝에 달려 뼈에 붙은 힘줄은 늘어납니다. 힘줄의 경우 90퍼센트 이상 섬유질 성분으로 근육에 비하여 탄성력과 수축 능력이 부족합니다. 따라서 힘줄의 경우 미세하게 파열이 진행됩니다. 이러한 미세파열이 심해지면 찢어진 힘줄 사이에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열감과 통증이 동반되는 것입니다.

 

 

 

② 손을 든 상태에서 과도한 외반력(valgus force)

 

 

 

팔꿈치에 엄청난 순간 외반력이 전해짐

 

 

주로 야구선수나 배구선수 및 라켓을 가지고 운동을 하는 운동선수들에게 발생합니다.

 

 

외반력(valgus force)이란 신체의 바깥에서 안쪽으로 힘이 전해지는 것입니다. 야구를 예로 들자면 투수의 경우 공을 던질 때 어깨의 힘이 물론 중요하겠지만 던지는 동작에서 팔꿈치의 회전력을 더 하려고 공을 잡은 손으로 팔꿈치를 바깥으로 더 꺾습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하게 되면 팔꿈치의 안쪽은 순간적으로 외반력을 받게 되고 안쪽 부분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 순간에 미세한 손상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골프 엘보우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증상은 기본적으로 근육의 관점과 신경의 관점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힘줄의 미세파열이 원인이므로 해당근육을 수축할 때마다 통증이 심각하게 발현됩니다. 

 

 

예를 들자면 "주먹을 쥐고 있을 때 팔꿈치 안쪽에 통증이 남", "손목을 구부릴 때 팔꿈치 안쪽 부분에서 심한 통증이 남"과 같은 증상이 있습니다.

 

 

또한 신경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혹시 팔을 책상 위에 올릴 때 팔꿈치 안쪽이 모서리에 닿아서 순간 엄청난 저림을 경험한 기억이 있나요? (전 많습니다..)

 

 

우리 몸의 자신경(ulnar nerve)은 팔꿈치뼈 안쪽면을 지나고 이 부분을 "cubital tunnel"이라고 부릅니다.

 

 

 

손목 굽힘근의 과도한 사용으로 자신경이 눌리면 약지와 새끼손가락의 힘이 빠지게 되고 구부리게 될 경우 저림 현상이 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사진과 같이 elbow cubital tunnel syndrome 또는 ulnar nerve entrapment syndrome이라고 부릅니다.

 

 

 

 


 

 

 

 

☞ 골프 엘보우 자가진단법

 

 

▷ 일단은 약지와 새끼손가락을 구부리면서 손목을 같이 구부려본다 

    극심한 통증이 나타난다면 힘줄이 한계 범위 이상으로 늘어나 힘줄의 미세 손상이 생긴 결과입니다.

 

 

 

 

▷Milking test (안쪽곁인대 부분 열상 유무 감별검사)

 

 

Milking test

 

 

 

▶ 앉은 자세에서 팔꿈치 관절을 90 º 이상으로 구부리고 아래팔을 손바닥이 하늘을 향하게 뒤침(pronation)시킨다.

 

 

 

▶  반대 손으로 엄지손가락을 잡고 가쪽으로 당긴다. (두 명이서 실시할 경우 검사자가 대상자의 엄지손을 잡고 바깥쪽으로 당겨준다)

 

 

 

▶ 통증감이 심하면 안쪽곁인대가 부분 열상이 있다는 뜻이다.

 

 

 

 

▷ 자신경 포획 증후군 감별검사 (elbow cubital tunnel syndrome 감별)

 

 

 

 

자신경 포획증후군 검사

 

 

 

▶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어깨를 펴주고 어깨를 내려준다

 

 

 

▶손목은 펴고 팔꿈치를 완전히 굽힌 상태에서 3~5분간 유지한다

 

 

 

▶ 아래팔과 약지, 새끼손가락의 저림이나 이상감각이 느껴지면 양성반응이다(빠르면 5초 안에도 나타난다)

 

 

 

 

 

 

자신경 티넬 검사 (ulnar nerve Tinel's sign test)

 

 

ulnar nerve Tinel's sign test

 

 

▶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어깨를 펴고 아래로 내려준다

 

 

 

▶ 팔꿈치를 구부린 상태에서 반대 엄지손가락으로 cubital tunnel 안의 자신경을 눌러주거나 가볍게 두드린다

 

 

 

▶ 압박을 가한 부위로부터 먼쪽 방향으로 저림 감각이 나타난다면 양성이다

 

 

 

 

 

 

 


 

 

 

☞ 골프 엘보우 자가운동법

 

 

 

 

▷ 자뼈 쪽 손목 굽힘근 마사지 

 

 

 

자쪽 손목 굽힘근 마사지 

 

 

▶ 앉은 자세에서 팔꿈치를 구부려준다

 

 

 

▶ 팔꿈치 안쪽 부분에서 5~7센티 위부분에 마사지볼을 위치시킨다

 

 

 

▶ 약지, 새끼손가락을 힘주어 구부릴 때 수축되는 근육부위로 마사지볼을 이동시킨다

 

 

 

▶ 마시지 볼을 적절한 압력으로 누르면서 약지와 새끼손가락을 구부렸다 폈다 반복한다(빨간 선)

 

 

 

▶ 마사지볼을 적절한 압력으로 누르면서 손목을 좌, 우로 뒤집어 준다(노란 선)

 

 

 

▷ 손목 굽힘근 신장성 운동(매우 중요)

 

 

손목 굽힘근 신장성 운동

 

 

 

▶ 앉은 자세에서 팔꿈치 관절을 구부린 후 반대쪽 손으로 운동하려는 손가락과 손바닥 상부를 사진과 같이 잡는다

 

 

 

▶ 서서히 힘을 주어 손목을 구부려준다 

 

 

 

▶구부려주는 힘보다 더 큰 힘으로 반대 손을 이용하여 손목을 펴준다(이와 같은 운동을 신장성 운동이라 부른다. 신장성 운동은 근육의 힘을 주면서 근육의 길이가 늘어나는 운동이다. 재활에서 상당히 중요한 운동이다/ 빨간 화살표)

 

 

 

▶20~30회 반복한다 

 

 

 

 

▷ 자뼈 쪽 손목 굽힘근 신장성 운동(매우 중요)

 

 

 

 자쪽 손목 굽힘근 신장성 운동

 

 

 

 

▶ 앉은 자세에서 팔꿈치 관절을 구부린 후 반대쪽 손으로 운동하려는 약지, 새끼손가락과 손바닥 상부를 사진과 같이 잡는다

 

 

 

▶ 서서히 힘을 주어 손목을 구부려준다 

 

 

 

▶구부려주는 힘보다 더 큰 힘으로 반대 손을 이용하여 손목을 펴준다(이와 같은 운동을 신장성 운동이라 부른다. 신장성 운동은 근육의 힘을 주면서 근육의 길이가 늘어나는 운동이다. 재활에서 상당히 중요한 운동이다/ 빨간 화살표)

 

 

 

▶20~30회 반복한다 

 

 

 

 

 


 

 

 

운동선수가 아닌 일반인의 대부분은 넷째, 다섯째 손가락을 과도하게 힘을 많이 주어 물건을 잡고 손목을 구부리면 호발 합니다. 

 

 

 

골프 엘보우라는 골프선수들이 골프채를 잡는 자세가 넷째, 다섯째 손가락에 많은 힘을 주는 포지션이고 이들에게 자주 발생하여 붙여진 별명입니다.

 

 

 

손목을 구부리고 펴게 하는 대부분의 근육들이 팔꿈치의 안쪽, 가쪽 위관절융기에 붙어있다. 따라서 팔꿈치 밑의 아래팔을 잘 풀어주는 것이 손목의 과사용을 예방하는 방법이 될 것입니다. 

 

 

 

마사지할 때 주의점은 항상 힘줄 부분에 직접 마사지도구나 손을 대고 하지 않는 것입니다. 힘줄은 마사지나 압박에 아주 취약한 구조(탄력성이 거의 없다)이기 때문에 반드시 마사지를 하려면 근육의 가장자리 주변을 해 주셔야 됩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테니스 엘보우 검사방법부터 치료까지!

마사지에 관하여/팔꿈치 (elbow)

 

안녕하세요~ physiotherapy입니다. 

 

 

 

테니스 엘보우(tennis elbow)외측상과염, 가쪽 위관절융기염, 손목 폄 증후군, LCL 염좌 등 다양하게 불리는 운동계 손상입니다.

 

 

 

다음의 증상을 가지신 분들은 본 포스팅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강도 높은 손작업을 하시는 분들

 

 

▶ 컴퓨터 키보드, 마우스의 사용이 많으신 분들

 

 

▶ 글쓰기, 펜 작업 등의 직업을 가지신 분들

 

 

▶ 야구, 테니스, 수영, 골프 등의 스포츠를 즐기시는 분들

 

 

▶ 바이올린, 피아노, 하프 등 음악을 연주하시는 분들

 

 

 

 

※ 포스팅 순서

 

 

☞ 테니스 엘보우 정의 및 문제 되는 부분

 

 

☞ 어디를 치료해야 증상이 호전될 것인가?

 

 

☞ 테니스 엘보우 자가검사방법

 

 

☞ 테니스 엘보우 자가운동방법

 

 

 

 

 


 

 

 

 

☞ 테니스 엘보우의 정의 및 문제 되는 부분?

 

 

 

용어 정의입니다. 

 

 

관절이란 뼈와 뼈가 만나는 부위입니다.

 

 

힘줄이란 뼈와 근육이 만나는 부위입니다.

 

 

인대란 뼈와 뼈 사이를 연결해주는 강인한 섬유성 결합 조직으로 관절을 보호합니다. 

 

 

상과염(epicondylitis) 팔꿈치 관절의 상과부(epicondyle)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 지거나 반복하여 무리하게 사용될 경우 상과부에 붙어있는 힘줄에 미세손상이 오게 되고 미세손상이 반복되면 통증,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외측상과염(lateral epicondylitis)외측상과부에 붙은 근육들의 힘줄에 미세손상으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ECRL, 장요측수근신근) /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ECRB, 단요측수근신근)

 

 

ECRB는 가쪽위관절융기에 붙어 있어서 직접적인 테니스 엘보우에 원인이 되는 근육입니다.

 

 

 

 

 

 

 

 


 

 

 

 

☞ 어디를 치료해야 증상이 호전될 것인가?

 

 

테니스 엘보우는 기본적으로 힘줄의 미세파열이 원인이 됩니다. 

 

 

치료를 위해 우선 본인의 동작분석이 필요합니다.

 

 

과연 어떤 동작들이 팔꿈치 쪽 통증을 유발했을까를 고민해야 합니다.

 

 

테니스 엘보우가 임상적으로 가장 심해지는 자세는 팔꿉관절이  굽은 상태에서 아래팔은 엎침, 손목은 편 자세에서 무언가를 잡을 때 가장 심해집니다.

 

 

 

 

 

이런 자세도 지양하여야 하고 , 팔꿈치를 완전히 펴고 아래팔을 엎침한 상태로 손목으로 무엇을 잡고 펴는 동작도 테니스 엘보우를 쉽게 유발합니다. 다음의 사진과 같이 말이죠

 

 

 

 

 

치료 시 가장 중요한 것은 동작분석을 통한 테니스 엘보우를 유발하는 자세를 피하는 것입니다.

 

 

이미 미세손상이 된 힘줄을 어떻게 회복해야 할까요?

 

 

사실은 오랜 시간 휴식을 하면 힘줄은 회복이 될 것입니다. 염증이 심하다면 병원에서 소염제 밑 주사 처방도 해야겠지요.

 

 

그러나 짧아진 손목폄근은 반드시 늘려주어야 합니다. 물론 늘리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늘린 범위에서 신장성 운동을 통하여 손목폄근강화를 시켜주어야 합니다. 

 

 

 

 

 


 

 

 

 

☞ 테니스 엘보우 자가검사방법

 

 

 

 

 Mill's test (밀 검사)

 

 

 

Mill's test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팔꿈치를 책상 등에 고정을 시킨다

 

 

 

아래팔을 엎침자세 시키고 손목관절을 피고 손목을 노쪽편위(엄지손가락 방향으로 구부림)시킨다 

 

 

 

▶반대 손으로 손목을 구부리려고 힘을 주고 그 힘을 버티려고 손목을 펴준다 (노란, 빨간 화살표)

 

 

 

만일 팔꿈치 가쪽에서 심한 통증이 갑자기 유발된다면 테니스 엘보우 양성 판단을 내릴 수 있다. 

 

 

 

 

 

 Cozen's test

 

 

 

 

 

Cozen's test

 

 

 

▶선 자세를 한다

 

 

 

아래팔을 엎침한다

 

 

 

팔꿈치를 펴는 동시에 손목을 구부려준다 (빨간 화살표)

 

 

 

만일 팔꿈치 가쪽에서 통증이 나타난다면 테니스 엘보우 양성판단을 내릴 수 있다

 

 

 

 


 

 

 

 

☞ 테니스 엘보우 자가운동방법

 

 

 

 

 

ECRB 이완 운동 

 

 

ECRB release technique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팔꿈치를 구부려 책상 위에 올리고 아래팔은 엎침자세로 손목은 중립을 유지한다

 

 

 

마사지볼을 가쪽위관절 융기에서 5~7센티 아래 방향에 위치시킨다

 

 

 

마사지볼을 근육결에 수직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며 굴려준다 (빨간 화살표)

 

 

 

 

ECRB 이완하면서 등척성(isometric) 운동

 

 

 

 

ECRB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팔꿈치를 구부려 책상 위에 올리고 아래팔은 엎침자세로 손목은 중립을 유지한다

 

 

 

무겁지 않은 물건을 손에 잡는다

 

 

 

위관절 융기부분을 촉진하면서 손으로 물건을 서서히 힘을 주어 꾹 잡아본다 (손목은 구부리지 않는다)

 

 

 

 

ECRB 수축하면서 신장성 운동 (매우 중요)

 

 

 

 

ECRB eccentric contraction exercise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팔꿈치를 구부려 책상 위에 올리고 아래팔은 엎침자세로 손목은 중립을 유지한다

 

 

 

손으로 가벼운 무게의 물건을 너무 힘주지 않고 잡는다

 

 

 

손목에 중간 정도의 힘을 주어 손목을 편다 (빨간 화살표)

 

 

 

반대 손으로 손목을 구부리는 힘을 준다 (노란 화살표)

 

 

 

손목의 펴는 힘을 유지한 채로 손목을 구부려준다 (근육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수축하는 것으로 상당히 중요한 운동이다)

 

 

 

 

 


 

 

 

 

오늘은 테니스 엘보우의 정의, 원인, 자가검사, 자가운동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무엇이든 자세가 가장 중요합니다. 팔꿈치 관절에서 아래팔을 걸쳐 손목으로 이어지는 손목근육들은 좁은 곳에 여러 다발처럼 빽빽이 위치하기 때문에 과다한 사용은 팔꿈치의 염증을 가져오기 쉽습니다.

 

 

 

더군다나 손목을 움직이는 근육들은 길고 얇기 때문에 큰 힘을 갑작스럽게 내기에는 불리한 구조입니다. 

 

 

 

손목을 사용함에 앞서 팔꿈치, 어깨의 위치는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특정한 동작을 잘못 행동하고 있다면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또한 과도하게 손목을 사용할 수 있는 많은 직업군들은 자가 스트레칭 , 운동 및 휴식을 통해 자기 몸을 보호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더 좋은 포스팅으로 오겠습니다.

손 뒤집기 잘 안되시나요? 아래팔 자가운동!

마사지에 관하여/팔꿈치 (elbow)

 

 

안녕하세요~  physiotherapy입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본 포스팅이 유용하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손으로 물체를 잡고 돌릴 때 팔꿈치 쪽이 아프다

 

 

 

▶ 업무상 손목에 힘을 쥐고 돌리는 행동을 많이 한다

 

 

 

▶ 손을 들고 "반짝반짝" 자세를 할 때 팔꿈치가 아프다. 

 

 

 

 


 

 

 

이번 포스팅의 순서입니다.

 

 

 

☞ 손목을 뒤집는 녀석들!

 

 

 

☞ 손목 뒤집기 자가운동!

 

 

 

 


 

 

 

☞ 손목을 뒤집는 녀석들!

 

 

 

 

손목을 구부리고 펼 때는 손목 관절에서 동작이 이루어집니다.  손목 관절은 손목뼈 4개와 위팔뼈와 노뼈(radius)가 만나 관절을 이룹니다.

 

 

 

그렇다면 손목을 뒤집는 건 어디 관절에서 이루어질까요?

 

 

 

 

용어를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손은 손목, 손허리, 손가락으로 이루어졌다고 설명드렸습니다.

 

 

 

손과 어깨 사이를 팔(arm)이라 부르고, 팔은 팔꿈치를 기준하여 위팔과 아래팔로 구분됩니다. 

 

 

 

아래팔에는 두 개의 긴 뼈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아래팔에서 엄지손가락 쪽에 위치한 뼈를 노뼈(요골)이라고 부르고, 새끼손가락 쪽에 위치한 뼈를 자뼈(척골)이라고 부릅니다. 

 

 

 

노뼈는 손목뼈와 관절을 이루어 손목관절을 구성하고, 자뼈는 위팔뼈와 관절하여 팔꿈치관절을 구성합니다. 

 

 

 

노뼈와 자뼈 사이에는 두 곳에서 관절을 이룹니다. 

 

 

 

몸과 더욱 가까운 위쪽에 위치한 관절을 몸쪽노자관절 (proximal radioulnar joint)라고 부르고 몸에서 먼 쪽에 위치한 관절을 먼쪽노자관절 (distal radioulnar joint)라고 부릅니다. 

 

 

 

손목을, 손을 뒤집는 행동은 몸쪽노자관절과 먼쪽노자관절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이고, 노뼈가 자뼈 위를 회전하며 손을 뒤집습니다. 

 

 

 

노뼈와 자뼈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뒤침(supination), 노뼈가 자뼈 위를 회전하여 두 뼈가 "X 자 모양"을 취할 때 엎침(pronation)이라고 부릅니다. 

 

 

 

그렇다면 아래팔을 구성하는 두 개의 관절인 몸쪽노자관절과 먼쪽노자관절을 움직이는 실질적인 근육이 누구인지 보겠습니다.

 

 

 

 

 

 

 

 

아래팔에는  2개의 뒤침근(회내근)1개의 엎침근(회외근)이 주동근으로 사용됩니다.

 

 

뒤침근은 사선으로 이루어진 원엎침근(pronator teres)과 사각형 모양의 네모엎침근(pronator quadratus)로 구성됩니다.

 

 

엎침근은 노뼈에서 위팔뼈랑 연결된 뒤침근(supinator)이 있고, 위팔뼈의 위팔두갈래근이 수축을 하게 되면 팔은 뒤침을 보조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해부학적 구조도 파악했고~ 각각의 동작을 취하는 근육들의 종류와 위치도 파악했습니다.

 

 

그렇다면 자가운동을 하면 되겠습니다.

 

 

뒤침이 안될 경우 타이트해진 엎침근육들을 늘려주고 풀어주면 되고, 엎침이 안될 경우 타이트해진 뒤침근육들을 늘려주고 풀어주는 것이 좋은 접근법일 것입니다. 

 

 

 


 

 

 

 

☞ 손목 뒤집기 자가운동!

 

 

 

▷ 뒤침근 자가마사시 (release supinator)

 

 

 

 원엎침근 자가마사지 (release pronator teres)

 

 

 

 네모엎침근 자가마사지 (release pronator quadratus)

 

 

 

 


 

 

 

 

뒤침근 자가마사지

 

 

 

 

▷ 뒤침근 자가마사시 (release supinator)

 

 

 

▶ 바로 선 자세에서 팔꿈치를 피고 손목을 굽히고 손가락을 굽히고 새끼손가락 방향으로 손목을 돌려준다 

 

 

 

▶ 마사지볼 등의 구체 도구를 팔꿈치의 노뼈 부근에서 아래쪽으로 5~7 센티 가량 내린 곳에 위치시킨다

 

 

 

▶ 마사지볼에 압력을 가해 누르면서 천천히 팔뒤꿈치 방향으로 굴려주고 다시 원위치로 굴려주고를 반복한다

( 빨간 화살표 방향)

 

 

 

▶ 수시로 자유롭게 반복한다

 

 

 

 

 

원엎침근 자가마사지

 

 

 

 

 원엎침근 자가마사지 (release pronator teres)

 

 

 

▶ 바로선 자세에서 손을 벽에 대고 팔꿈치와 손목과 손가락을 펴준다

 

 

 

▶ 팔꿈치에서 새끼손가락 쪽인 자뼈 방향으로 3~5 센티 내린 곳에 마사지볼을 위치시킨다

 

 

 

▶ 마사지볼에 압력을 가하여 누르면서 대각선 아래 방향으로 노뼈를 향해 굴려주고 원위치로 다시 굴려주고를 반복한다 (빨간 화살표 방향)

 

 

 

수시로 자유롭게 반복한다

 

 

 

 

네모엎침근 자가마사지

 

 

 

 네모엎침근 자가마사지 (release pronator quadratus)

 

 

 

▶ 바로선 자세에서 손을 벽에 대고 팔꿈치와 손목과 손가락을 펴준다

 

 

 

▶ 손목에서 5센티 정도 위부근에 노뼈와 자뼈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데 그곳에 마사지볼을 위치시킨다

 

 

 

▶ 마사지볼에 압력을 가하여 누르면서 팔꿈치 방향으로 수직으로 5센티 정도 굴리고 다시 원위치로 굴리고를 반복한다(빨간 화살표 참고)

 

 

 

 수시로 자유롭게 반복한다

 

 

 

 


 

 

 

 

엎침과 뒤침에 관련된 근육들을 자가로 마사지하는 방법을 사진과 함께 설명하였습니다.

 

 

 

굳이 마사지볼이나 테니스 볼 등을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꾹꾹 누르면서 진행하더라도 무리가 없는 운동들입니다.

 

 

 

손 뒤집기가 잘 안 되는 경우 일상생활의 많은 동작에 제한이 올 수 있고, 아래팔의 움직임이 안될 경우 손목의 과도한 움직임이 발생하거나 위팔의 움직임이 변하여 자세에도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 어느 하나 연결 안 된 부분은 없고 어느 부분이 손상된다는 것은 다른 부분이 과도하게 그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의미하고 그 과도한 수행으로 다른 부분마저 손상되는 게 우리 몸입니다. 

 

 

 

손목을 뒤집을 때 통증이 있거나 부자연스러운 분들은 오늘의 내용으로 자가운동을 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